'7080 낭만 가요'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7080 낭만 가요

조용필 - 꽃순이 조용필 - 꽃순이라디오 연속극을 즐겨 들었던 시절,  연속극이 시작하기 전부터 준비 자세를 취하고 주제가부터 마지막 극본, 연출, 성우 이름까지 죽 나오면 마지막까지 다 들어야 직성이 풀리던 일일연속방속극. 그 중에 하나 "꽃순이를 아시나요"를 기억하는 건순전히 주제가 때문이기도 하다. 연속극의 내용은 기억나질 않지만 이렇게 주제가만 기억에 남은 연속극이 몇 있다. 처음 "꽃순이"를 부른 가수는 하남석이라고 한다. 한 10여일 노래를 불렀다고 하는데 하남석의 노래는  내 기억에 깊이 남아있지 않다. 오히려 조용필의 노래가 절절했다. 그 때는 조용필이란 가수가 막 새롭게 올라오고 있던 때였다.  라디오 연속극이 1976년 방송되었고, 얼마지나지 않아 조용필도 대마초 사견에 연루되어 철퇴를 맞게 된다. ​라.. 더보기
박성신 - 한번만 더 박성신 - 한번만 더박성신은 서울예술전문대학 시절 1987년 제 11회 대학가요제에 이세창 작사작곡의 "회상"으로 참가했었고 이듬해인1988년 강변가요제에도 박성신 작사 이범희 작곡 "비오는 오후"로 장려상(가창상)을 받으며 가요계에 노크하고, 1989년 "박성신 1집"의 "한번만 더"로 큰 인기를 얻으며 성공적인 데뷔를 한다. ​1991년 2집을 내고 활동하지만 큰 빛을 보지 못하고 결혼과 함께 가수 활동을 접고 신앙생활에 전념하면서 CCM가수로 주로 활동한다. 2009년 "헤아릴수 없는 기쁨"을 내며 활동을 재개하지만 병마의 침범으로 2014년 세상을 등지고 만다. 박재란의 딸이라는 것을 굳이 알리지 않으려 했으나   젊은 시절의 박재란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고 목소리에서도 박재란의느낌이 잘 나타난다 .. 더보기
설운도 - 원점 설운도 - 원점1958년 부산에서 태어난 설운도(본명 이영춘)는 학생 때인 1974년 MBC아마추어 노래자랑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재능을인정받았고 병역을 마친 후 어머니 곽문희(KBS부산 전속가수 및 부산 MBC전속가수 출신)의 적극적인 권유로 서울에서 가수준비를 하고 있었다. 1982년 KBS "신인탄생"에서 5주연속 1등하며 본격적인 가수로서의 활동을 시작하고 2장의 앨범을 내지만, 빛을 보지 못하다가 8개월 간의 공백 끝에 1983년 출반한 "잃어버린 30년"이 전국방송으로 나간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의 배경음악으로 나가면서울음바다가 되는 상봉의 순간과 노래 가사의 절묘한 조화와 타이밍으로 순풍에 돛 단 듯이 순식간에 노래는 히트하고 30만장의앨범 판매고를 올린다. 설운도의 매력을 충분히 느낄수.. 더보기
바블껌 - 비야 비야 바블껌 - 비야 비야이스라엘 국가이며 유대인들이 즐겨부르는 하티크바(HaTiq'vah, Hatikva ; 희망)에서 멜로디를 차용한 이 곡은 서유석이우리의 전래민요인 비야비야 를 참고로 개사하여  1971년 발표하고  이어 1972년에 바블껌이 1974년엔 박인희가 불렀던 곡이다. ​참고로 하티크바는 1890년대작곡되어 1948년 이스라엘 국가로 제정된곡으로 정작자국에서는 대접이 융숭하지는 못하다고 한다.  우파에서는 유대교적인 부분이 없어 지나치게 세속적인라는 이유로, 좌파에서는 국민의 20%가 아랍인인데 너무 민족주의적이라고 까내리는 모양이다. 어느 나라나 갈등은 있는 것 같다. 아랍권에선 금지곡이다. 당연이 노래의 대부분이 시오니즘적인 요소가 강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음악교재나 교과서에.. 더보기
김태희 - 소양강 처녀 김태희 - 소양강 처녀1970년 발표된 반야월 작사 이호작곡의 "소양강 처녀"는 강노래 중에서는 비교적 늦은 시기에 나온 노래이지만 가장 많이불린 곡 중에 하나다. 가수 김태희(본명 박영옥)는 1970년 "소양강 처녀"로 데뷔와 함께 1970년 TBC 신인가수상을 수상한다. 그러나 1972년 발표한 "사랑이 싫어지면"이 왜색가요로 금지곡이 되고 부친의 사업이 어렵게 되면서 짤은 기간 활동한 가요계를 떠난다. 더구나 아버지의 만류로 방송출연도 많이 하지 않아 얼굴도 잘  알려지지 않은 가수였다. ​그런데 그녀의 노래는 다시 인기를 얻는다. 후배인 김재희와 한서경이 리바이벌하면서 1991년에서 96년 사이 대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있는 곡이 되었고 노래방 가요 인기순위 1, 2위를 다투게 된다. 20년이 .. 더보기
양미란 - 범띠 가시내 양미란 - 범띠 가시내1970년 발표된 지명길작사, 정민섭작곡의 "범띠가시내"는 유니크한 제목때문에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곡. 특히 범띠 여자들의 사랑을 받았음은 물론이다. 양미란은 독특한 발성과 풍부한 성량에 발랄한 창법으로 많은 노래를 남겼다. 정민섭곡으로 김상희 노래로 알고 있는 "대머리총각"과 이씨스터즈의 "목석같은 사나이"는 양미란도 불렀다. 국내 R&B의 첫 작품으로 꼽히는 "당신의 뜻이라면(정민섭곡)"을 부른 첫번째 소울 가수 이기도 하다. ​"범띠 가시내"는 1970년 윤정희, 이대엽 주연으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조연으로는 유미, 최인숙, 안인숙, 허장강, 황정순, 주선태, 김홍지, 이철 등이 등장해 남녀 럭비 경기 대결을 해  범띠 가시내들의 활약상을 보여주었다. 전체관람가로 아카데미.. 더보기
조용필 -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조용필 -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조용필 1집에 수록된 곡으로 오사랑 작사, 허영철 작곡의 노래다. 1집에는서 유래없이 전 곡이 사랑을 받았는데, A면의 "창밖의 여자, 돌아와요 부산항에, 잊혀진 사랑, 돌아오지 않는 강,정,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와 B면의 "단발머리, 한 오백년, 대전블루스,너무 짧아요, 슬픈 미소" 가 수록되어 있는 100대 명반 29위의 앨범. 주옥같은 인기곡들이 즐비하여 A면 마지막 곡인 이 곡은 불 같은 ​인기라기보다 은근한 인기로오래 사랑 받은 곡이 되었다.​ 조용필은 1950년 경기도 화성(송산면)에서 7남매의 막내로 태어난 조용필은 비교적 어린 나이인 19세 경동고등학교를갓 졸업하자마자 가정 경제에 도움을 주고자 경기도 파주의 미8군 클럽에서 애드킨스 멤버로 기.. 더보기
이연실 ,김영균 - 그대 이연실/김영균 - 그대이 곡은 김영균 작곡의 노래로 1985년 김영균과 이연실이 듀엣으로 공동 작업한 음반에 실렸었다. 이연실은 1971년 "새색씨 시집가네"로 데뷔하여 포크가요계​에 혜성처럼 등장한 가수로 데뷔와 함께 인기를 얻으며 수많은곡을 히트시킨다. ​그녀는 홍익대 미대 재학시절에는 음악과 인생을 알겠다고 휴학하고 대구에서 다방 레지 생활을 했다는​ 일화가 있고 노래뿐아니라 작사 작곡까지 재능을 보인 가인이었다. 1989년 그녀의 노래를 모은 "이연실 ​고운 노래 모음집 1, 2 집"을 낸 후로 가요계를 떠났고 이후의 근황은 전혀 알려지지 않은 채 은둔하고 있는 그리운 이름이다.​ ​그의 마지막 음반이 된 ​"이연실 고운 노래 모음집"에는 그녀의 신곡들이 있었는데, 사회참여성이  짙은 "소낙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