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 추억 가요'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5060 추억 가요

최희준 - 진고개 신사 최희준 - 진고개 신사본명이 최성준인 최희준은 해병대를 제대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3학년 때인 1957년 교내 축제에서 샹송(고엽)을 불러입상한 뒤 1958년부터 미8군 무대에서 가요계생활을 시작하였다. 1960년 첫 작품인 "우리 애인은 올드미스"로 인기를 끌기 시작하여 스타반열에 오른다. 1961년 MBC라디오드라마주제가인 "엄처시하"와 1964년 영화주제가 "맨발의 청춘",  1965년 KBS라디오드라마주제가"하숙생", 1967년 TBC라디오드라마주제가 "광복20년",  1967년 영화주제가 "팔도강산" 등을 연속 히트시키는 한편 1964년에는 대학출신 가수인 박형준(고려대), 유주용(연세대),이한필(위키리, 서라벌예대)와 함께  "포클로버스"를 조직해활동하고, 솔로로도 진고개신사, 종점, 길 잃.. 더보기
쟈니 브라더스 - 방앗간집 둘째딸 쟈니 브라더스 - 방앗간집 둘째딸이곡은 영화 "워커힐에서 만납시다(1966)"에 삽입된 곡이기도 하다. 1965년 오아시스레코드사에서 발표한 쟈니브라더스음반(OL 12468)  "쟈니브라더스 걸작선" "박춘석 작곡집"에 타이틀곡으로 실렸다. ​이 음반의 곡들은 "걸작선"이란 말과 어울리게 이미 발표해 인기를 끈 작품들도 다수가 포함된 것으로  이 "방앗간집 둘째딸"외에"니가 잘나 일색이냐(영화 주제가)", "마포사는 황부자(영화 주제가)" 같은  곡이 히트한 곡으로 앞선 "빨간마후라"에 이어 대세그룹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한 곡들이다. ​영화 "워커힐에서 만납시다"에 출연한 영상으로 들어본다. 주연과 조연으로 활약한 서영춘과 트위스트김의 모습도 반갑다. 이곡은 가사가 선정적이라고 방송금지곡으로 지정되었.. 더보기
조애희 - 내 이름은 소녀 조애희 - 내 이름은 소녀조애희란 가수를 일약 스타덤에 올려 놓은 인기곡이 바로 "내 이름은 소녀"였다. 아주 어린 초등학교 학생인 나의 뇌리에도 기억이 뚜렷하게 남아 있을 만큼 라디오 전파를 많이 탓고 길거리 전파상의 단골선곡이기도 했던 밝고 아름다운 감성의 노래다. 전쟁의 상흔이 다 가시지도 않고 삶에 찌들어 있던 서민들의 가슴에 꿈을 심어주기에 안성마춤의 곡이었다. 중저음의 허스키한 목소리에 아름다운 정감이 있어 노래가 매력적이다. ​1964년 발표된 하중희 작사 김인배 작곡의 "내 이름은 소녀"는 조애희를 대형 인기가수 반열에 올려 놓은 곡이다. 1963년 KBS전속가수가 되면서 방송국과 KBS경음악단장을 하고 있던 김인배와 방송원고와 노래가사를 쓰던 하중희의관심을 받으며 좋은 노래를 받아 인기가.. 더보기
차중락 - 그대는 가고 차중락 - 그대는 가고그대는 가고, 노래만 남았네 차중락은 한 때를 ​풍미했던 가수로 최고의 인기절정에서 우리 곁을 떠났다. 연극영화과 출신으로 수려한 외모와 맑고 청아한 미성으로 많은 팬을 갖고 있던 샛별이었다. 그는 가고 노래만 남았다. ​차중락이 갑자기​ 떠나고 그를 사랑하는 사람들 때문에 그와 목소리가 비슷한 동생 차중광과  사촌 차도균이 그를 대신해 노래를불렀었다.  그로인해 오리지날 차중락의 노래를 찾기는 쉽지 않다.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보다 "그대는 가고"가 차중락의 매력적인 목소리를 듣는 데는 더 적합하다. "밤하늘의 연가"가 더 좋다. ​1967년 발매한 앨범 "굴복, 그대는 가고,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에 실린 곡이며 10년 넘게 꾸준한 스테디 셀러였던 유작 앨범"차중락 히트 앨범.. 더보기
남일해 - 빨간 구두 아가씨 남일해 - 빨간 구두 아가씨처음 들었을 때 이 노래의 느낌은 상큼 발랄한 것이다. 1963년 하중희 작사 김인배 작곡으로 발표된 곡으로  전쟁 후 암울한 시기에 트로트 풍이 아닌 스윙조의 경쾌한 곡으로큰 인기를 얻었다. 때아닌 빨간구두의 열풍을 몰고온 노래로 전후 패션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고...이곡은 1963년 뉴스타레코드사에서 발매한 베스트앨범(NS 60007) 님일해 힛트가요선집 "첫사랑 마도로스/빨간구두 아가씨"에 실려있는 곡이다.  남일해는 1957년 고등학교 3학년 때 대구 대도극장에서 열린 오리엔트레코드사 주최  전국 콩쿨대회에서 특상(대상)을 받아가수로 데뷔했다. 심사위원이었던 나화랑에게 발탁되어  1958년 "비 내리는 부두"로 데뷔하였고, 이어 발표한 "찾아온 산장"이 히.. 더보기
패티김 - 못잊어 패티김 - 못잊어경성치대를 나온 최치정(길옥윤)이 경기중학생이던 박춘석을 대중음악계에 먼저 데뷔시켰고 서울대 음대를 졸업한 이후한국 가요계의 기둥으로 성장한 박춘석의 도움으로 길옥윤도 작곡가로 데뷔한 것이 1962년. ​김혜자가 1959년 린다김으로 미8군 무대에 데뷔한 후 패티김으로 이름을 바꾸고 활동하며 세종문화회관에서 국내 최초의리사이틀을연 것이1962년. 박춘석에게 먼저 영화주제가 "초우(1966)" 등 곡을 받으며 활동하던 패티김과 길욕윤이 가까워지며 1966년 걸혼한다. ​1967년 영화 "연인의 길" 영화음악을 맡은 길옥윤이 작곡한 주제곡이 "연인의 길"이었다. 달콤한 신혼을 꾸린 부부에게 어쩌면 운명과 같은 곡이었는지 모른다. 하지만 길옥윤과 패티김은 결혼 칠년만에 파경을 맞는다. 그러나 .. 더보기
김성옥 -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성옥 -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성옥이라는 가수가 1959년 발표한 곡이다. 잘 알려진 영랑 김윤식의 시에 손석우가 곡을 붙이 이 곡은 라디오 드라마 주제곡이기도 하였다. 이 곡은 1959년 오아시스레코드사에서 발매한 10인치 음반( OL-10373) 영화 주제가집 "비극은 없다"에 실려 있는 노래다. 1960년대 가수 김성옥. 메조소프라노의 맑고 정감 있는 목소리의 주인공인 가수 김성옥은 1958년 중앙방송국(현 KBS) 전속가수로 활동을 시작해 손석우 작곡의 "센티멘탈 기타",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비롯, MBC 창사특집 드라마 "하늘과 땅 사이에"의 주제가를 불렀다. ​당시 미8군쇼 무대에서 주로 활동하던 그가 1962년에 홍콩으로 출국하기까지 아쉽게도 짧은 기간 국내에서 활동했던 가수다.  그러나 .. 더보기
전석환과 고바우 - 석별의 정 전석환과 고바우 - 석별의 정"건전가요 부르기"와 "다 함께 노래부르기"라는 운동이 성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 한번 잘 살아 보자고 허리띠를 졸라매고 아등바등 하던 때다. 오래전 일이다.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꽤 많을 것이다. 잊고 싶은 이들도 꽤 많을 것이다. ​과거의 향수라 치부할 수도 있고, 정권의 하수 역할이라 폄훼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스스로 좋아해서 국민들이 함께 건전하고 밝은 노래를 하는 것이 좋겠다 생각하고 온 힘을 기울여  이 일을 한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전석환이다. ​1934년 황해도 용매도에서 태어난 전석환은 연세대 종교음악과에 댜니던 1958년 조선호텔 미군장교클업에서 전자올갠을연주하면서 본격적인 음악인 활동을 시작한다.  1960년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