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남 - 모란 동백
본문 바로가기

9020 인기 가요

조영남 - 모란 동백

반응형

조영남 - 모란 동백




이 노래는 이제하 작시 작곡 노래의 곡으로 발표되었다. 그것이 1998년이니 벌써 25여년이나 된 곡이다.
조영남이 빅콘서트에서 부른 것이 2000년이고 2001년 음반으로 냈었다. 다시 불러 제대로 알려진 것은  2014년이다.

이 노래에 대한 일화가 하나 전해지는데 조영남이 1988년 발표한 "화개장터"로 10여 년을 월궈먹으며 자신의 최대 히트곡으로

생각하고 있을 당시인 2001년 하루는 원로 가수 고운봉의 장례식에 참석했는데 고인의 생전 최대 히트곡인 "선창"이 헌가로

불려지게 되었다.

헌가를 부른 남보원의 모창 "울려고 내가 왔던가 웃으려고 왔던가~"하는 대목에 좌중의 분위기는 묘하게 흘러갔고 노래가 끝나고

"블루벨스"의 멤버가 조문하자 남보원이 말하기를 너 죽으면 내가 헌가로 히트곡 "잔치 잔치 벌렸네 무슨 잔치 벌렸나~"불러줄께

하고 농을 하는 바람에 한바탕 폭소가 일었고, 이를 본 조영남은 "아차 큰일이다" 하고 사태를 심각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내가 죽으면 "제비"나 "딜라일라"는 부르기 어려우니 "구경 한번 와 보세요~ 하고 노래를 부를 것이 아닌가?"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조영남은 "모란 동백"이라는 이제하의 노래를 재취입하면서 장례식용 노래를 취입했다고 방송에서

들려주기도 했다. 우스개 소리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자신이 모란 동백이었으면 하는 바람도 없지 않았던 모양이다.
조영남은 그래서 이 곡을 한동안 방송에서 열심히 부르기도 했고 가장 좋아하는 곡 중에 하나라고 한다.

​이제하는 홍대 조각과를 다니고, 196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입선하며 소설가로 등단하여 이후  1985년엔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로 이상문학상을 수상, 1987년엔 "광화사"로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한 시인이자 소설가이다.

​1998년에는 자작곡으로 음반을 냈는데 그 중에 "김영랑, 조두남, 모란, 동백"이 실려 있었다.

포크송 계열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인 셈이다.
이제하는 김영랑과 조두남을 무척 존경했다. 그래서 이 곡은 김영랑을 모란에 조두남을 동백에 오마주해 쓴 것이었다.
노래의 마지막 소절 "또 한번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는 두 분에 대한 평소 아끼는 마음이 잘 드러난다

 

 

 

 

 

 

 

 

조영남 - 모란 동백


모란은 벌써 지고 없는데

먼 산의 뻐꾸기 울면

상냥한 얼굴 모란 아가씨

꿈 속에 찾아 오네

세상은 바람 불고 고달파라

나 어느 변방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나무 그늘에

고요히 고요히 잠든다해도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동백은 벌써 지고 없는데

들녁에 눈이 내리면

상냥한 얼굴 동백아가씨

꿈 속에 웃고 오네

세상은 바람 불고 덧없어라

나 어느 바다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모래 뻘에

외로이 외로이 잠든다해도

또 한번 동백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또 한번 모란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출처] 가요(9000)/모란 동백 - 조영남|작성자 첫발자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