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자 - 달타령
본문 바로가기

7080 낭만 가요

김부자 - 달타령

반응형

김부자 - 달타령




추석에 가장 많이 불리는 곡이고 그리고 정월대보름에도 많이 불리는 곡이다.
김부자는 "달타령"으로 매년 추석 때가 되면 한두 번은 꼭 목소리를 듣게 되는 반가운 가수인데 1967년 "팔도기생"이라는

영화의 주제가를 부르면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다.

​황해도 신장 출신 김부자는 여고 1학년(16세) 때인 1964년 동아방송 가요백일장에 입상하여 가요계 데뷔한다.
1964년 김세레나, 조미미와 같이 데뷔하면서 "강화 아가씨", "떠나갑니다"를 발표하였고,1967년 발표한 "팔도기생"으로

이름을 알린다. 이후 1970년 "일자상서", "당신은 철새", "카츄샤"로 인기몰이를 하여  MBC10대 가수가 되며, 1972년

"달타령"으로 정상에 등극한다.

김부자를 민요가수 또는 신민요가수로 불리게 한 원흉인 곡이 바로 이 곡인데 민요를 채집해 현대화 한 것이 아닌가 생각

되기도 하지만 작사 작곡자가 확인한 완전한 창작곡이다.

​이곡은 1972년 여러 가수가 참여한 콤필레이션 음반에 수록하여 출반하였고 이 음반에서 가장 인기를 얻은 곡이 되었다. 
이 음반에 참여한 가수는 김준, 이상렬, 화니씨스터즈, 나훈아, 문정선,조미미, 홍세민, 김영준, 선우영아 였고, 나훈아의

 "모정의 세월"이 다음으로 인기를 얻은 곡이다.

​달타령은 신나는 리듬과 1월 부터 12월까지 전통 풍속과 먹거리로 표현하면서 친근감과 재미가 있어 이후 이박사, 이영화,

김용임등 많은 가수들이 리바이벌하고 특히 고속도로 메들리에도 빠지지 않는 곡이 되기도 하면서, 1960~70년대를 대표

하는 신민요로 자리잡았다.

 

 

 

 

 

 

김부자 - 달타령



달아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놀던 달아 

정월에 뜨는 저 달은 새 희망을 주는 달 

이월에 뜨는 저 달은 동동주를 먹는 달 

삼월에 뜨는 달은 처녀가슴을 태우는 달 

사월에 뜨는 달은 석가모니 탄생한 날 

 

 

달아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놀던 달아 

오월에 뜨는 저 달은 단오 그네 뛰는 달 

 

 

 

 

 

유월에 뜨는 저 달은 유두밀떡 먹는 달 

칠월에 뜨는 달은 견우직녀가 만나는 달 

팔월에 뜨는 달은 강강술월래 뜨는 달 

 

 

달아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놀던 달아 

구월에 뜨는 저 달은 풍년가를 부르는 달 

시월에 뜨는 저 달은 문풍지를 마르는 달 

십일월에 뜨는 달은 동지팥죽을 먹는 달 

십이월에 뜨는 달은 님 그리워 뜨는 달

 

[출처] 가요(7080)/달타령 - 김부자|작성자 첫발자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