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훈아 - 녹슬은 기찻길
"철마는 달리고 싶다" 1976년 2월 발표된 나훈아의 앨범 홍현걸 작곡집 "녹슬은 기찻길/잊을 수 없는 그대"의 타이틀 곡이었다.
남북 적십자 회담에서 1971년부터 논의된 "남북 이산가족찾기 사업"은 1972년 "7.4 남북 공동성명" 발표로 평화통일 원칙과
제반 협의사항 이행 합의로 그 기대감이 절정에 이르지만 남한의 10월 유신(1972. 10. 17)과 북한의 사회주의 헌법 채택
(1972. 12)에 결정적으로는 남한의 6.23 선언으로 남북적십자회담에 부담을 느끼고 있던 북한이 기회를 잡아 평화통일 의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면서 기대는 실망으로 바뀐다.
더구나 이 노래가 발표되자마자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의 발빌로 통일논의는 요원한 것처럼 멀어져간다.
사람들은 이 노래를 통해서 분단의 아픔을 곱씹으며 가슴 아파해야 했다.
이 곡의 가사를 쓴 김관현은 남북 공동성명 발표 시 공동 취재단의 일원으로 판문점을 찾게되었는데“철마는 달리고 싶다.”
표지판을 보고 북받쳐오르는 감정에 가사를 쓰게되었다는 곡이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이 노래가 나오고 꼭 10년이 흐른 1985년 전두환 정부시절 첫번째 상봉을 하게 된다.
이에 앞서 1983년 "KBS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은 전쟁으로 얻은 상처의 아픔을 다시 드러내며 큰 반향을 일으키는데, 4개월
동안 생방송으로 진행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이산의 아픔을 고스란히 보여줌으로써 남북 이산 가족 상봉의
염원을 더욱 강하게 부각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제 전쟁의 아품은 세월에 묻히려 한다. 6.25 전쟁을 경험한 세대들과 이산 1세대들은 고령으로 수가 줄고 있어 이산의 아픔도
점차 쇄하고 전쟁의 참혹함도 많이 잊혀진 듯하다.
나훈아 - 녹슬은 기찻길
휴전선 달빛 아래 녹슬은 기찻길
어이해서 피빛인가 말 좀 하렴아
전해다오 전해다오
고향 잃은 서러움을 녹슬은 기찻길아
어버이 정그리워 우는 이 마음
대동강 한강물은 서해에서 만나
남과 북의 이야기를 주고받는데
전해다오 전해다오
고향잃은 서러움을 녹슬은 기찻길아
너처럼 내 마음도 울고 있단다
[출처] 가요(7080)/녹슬은 기찻길 - 나훈아|작성자 첫발자욱
'7080 낭만 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코리안스 - 벽오동 (4) | 2025.07.12 |
---|---|
강승모 - 무정부르스 (2) | 2025.07.08 |
수와 진 - 새벽 아침 (3) | 2025.06.30 |
물레방아 - 너 하나 나 하나 (4) | 2025.06.26 |
김세레나 - 까투리타령 (1)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