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 - 뭉게구름
본문 바로가기

7080 낭만 가요

해바라기 - 뭉게구름

반응형

해바라기 - 뭉게구름







1970년대에 중창단의 진영으로 빼어난 선율과 화음의 융화를 선보이며 모던 포크 계열의 선두에 섰던 혼성그룹 해바라기는

 처음에 김의철을 리더로 하고 한영애, 김영미, 이광조가 한 팀이 되어 명동에 있는 업소를 중심으로 노래를 불렀다.
김의철이 건강상의 이유로 팀을 떠나자, 이정선이 대장으로 들어오고 이광조가 군에 간 사이에 이정선과 자주 콘서트를 

가졌던 이주호가 들어와 4인조의 진영을 갖춘다.
 
명동 카톨릭 여학생회관 해바라기 홀에서 콘서트를 갖기 시작한 이들은 1977년 8곡의 합창곡과 4곡의 솔로 곡이 실린 

첫 음반을 발표하고 '구름 들꽃 돌 연인'을 히트시키며 기타를 든 청년들에게 주요한 레퍼토리를 제공 해 준다.
이 음반은 이미 2장의 솔로 앨범으로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과시한 이정선이 프로듀서의 위치에서 참여했고 그를 비롯한 각

멤버가 솔로 한 곡씩을 불렀다. 이 중 이주호가 고교 시절 지었다는 '마음 깊은 곳에 그대로를'은 한영애의 목소리로 담겨 

있으며 후에 이주호, 유익종의 해바라기가 리메이크 한다.

1집으로 많은 사랑을 받은 이들은 1978년 두 번째 앨범을 발표한다. 이주호 대신에 이광조가 한 자리를 차지한 이 앨범에는 

'뭉게 구름'이 히트를 했고 같은 해 에서 징검다리의 노래로 대상을 차지한 '여름', 이정선의 솔로 앨범에 수록했었던 '섬 소년' 

등이 앨범의 완성도를 높여주고 있다.
이 앨범을 끝으로 이정선은 이광조, 엄인호와 풍선이란 그룹을 만들어 활동했고 한영애는 솔로 앨범의 실패로 연극계로

발을 옮긴다. 그리고 김영미는 유학을 떠난다.

1986년 김영미의 일시적인 귀국으로 같이 모이게 된 이들은 '우리가 지금은 헤어져도', '우리네 인생'이 수록된 고별 앨범을 

발표한다. 이중 타이틀곡인 '우리가 지금은 헤어져도'는 이별과 재회의 희망을 단아하게 노래해 라디오를 중심으로 아주 

많은 사랑을 받았다.

 

 

 

 

 

 

 

해바라기 - 뭉게구름

 

이 땅이 끝나는 곳에서 뭉게구름이 되어
저 푸른 하늘 벗삼아 훨훨 날아다니리라

 

이 하늘 끝까지 가는 날 맑은 빗물이 되어
가만히 이 땅에 내리면 어디라도 외로울까

 

이 땅의 끝에서 모두 다시 만나면
우리는 또 다시 둥글게 뭉게구름 되리라


 

 



이 하늘 끝까지 가는 날 맑은 빗물이 되어
가만히 이 땅에 내리면 어디라도 외로울까

 

이 땅의 끝에서 모두 다시 만나면
우리는 또 다시 둥글게 뭉게구름 되리라
우리는 또 다시 둥글게 뭉게구름 되리라 

 

 

 

반응형

'7080 낭만 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레방아 - 잊지는 말아야지  (0) 2022.08.05
민해경 - 그대모습은 장미  (0) 2022.08.03
장미리 - 당신이 좋아서  (0) 2022.07.30
장은아 - 이 거리를 생각하세요  (0) 2022.07.28
이용 - 바람이려오  (0) 2022.07.26